==> 기호일보가 3면 기사를 통해 혼란에 빠진 보수진영의 인천교육감 후보단일화 과정을 소개했다. 그런데 기사를 읽다보면 매우 심각하게 오해를 살만한 내용이 발견된다. “박(융수) 부교육감이 아직 출마를 구체적으로 거론하지 않았지만 보수와 진보진영 중간지대로 나설 것으로 예상되며, 후보 단일화에 성공하면 돌풍을 일으킬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박 부교육감이 이 전 교육감 구속 이후 흔들릴 수 있는 인천교육을 안정적으로 이끌어 왔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며 친절하게 홍보하고 있다. 특히 기사 말미에는 익명의 인천교육계 관계자의 말을 빌려 "진보 측은 이 전 교육감 영향으로, 보수 측은 분열 등으로 시대정신을 담아내지 못한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면서 “중간지대 후보가 시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라며 노골적인 표현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 기사가 별다른 의미 없이 작성됐다면 ‘신중하지 못하다’는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고, 만약 의도를 가진 기사라면 자칫 ‘선거법’에 저촉을 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 기호일보는 선거를 앞두고 기사의 작성과 게재에 보다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것이다.
==> 인천일보가 송도테마파크 부지 개발사업과 관련해, 이 회사의 대주주인 부영 이중근 회장의 주장을 일방적으로 보도했다. 이는 같은 날 여러 지역신문들이 인천시의 입장과 시민단체의 반대 성명을 비중 있게 다룬 것과 크게 비교된다. 인천일보는 부영에 인수된 뒤, 부영의 홍보지로 전락했다는 비난을 자초해왔다. 그만큼 노골적으로 대주주인 부영의 대변지 역할을 자처해 온 것이 사실이다. 언론은 개인이나 특정 기업의 사유물이 아닌 시민들의 공유물이다. 이 때문에 시민들이 언론을 신뢰하고 그 역할에 기대를 보내는 것이다. 만약 언론이 공공성을 저버리고 특정 업체를 일방적으로 선전하는 도구 노릇을 한다면, 시민들의 불신과 외면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인천일보는 이제라도 인천을 앞세운 회사명에 걸맞게 인천시민을 위한 사회적 공기로 되돌아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