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가 스스로 제기한 송도세브란스 병원 특혜 의혹 제기를 뒤집는 기사를 내보내 그 배경에 의혹의 눈길이 쏠리고 있다. 특히 같은 날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이에 대해 일제히 특혜 의혹을 제기했지만, 경기일보는 이를 단 한 줄도 반영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 30일 경기일보는 전날 인천시와 연세대학교 간의 국제캠퍼스 2단계 협약과 관련해 ‘송도세브란스 병원 2020년까지 건립’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1면에 보도했다. 이 기사는 “송도 5공구 국제캠퍼스 옆 33만6천여㎡ 부지에 송도세브란스 건립에 나선다”며 “일자리 창출과 진정한 의미의 종합캠퍼스로 거듭나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또 연세대, 송도세브란스 건립 확정… 지역경제 ‘희소식’ 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인터넷 판에 실었다. 하지만 이런 경기일보의 논조는 자신들이 기존에 제기한 의혹을 스스로 뒤집은 것이다. 앞서 경기일보는 지난 13일자 기사 통해 특혜 의혹을 제기한데 이어 ‘인천경제청은 연세대의 봉인가’라는 19일자 사설에서도 강도 높은 비판을 이어갔다. 이런 사실에 비추어 볼 때, 자신들의 오보를 인정한 것 아니면 스스로 특혜 의혹에 눈을 감은 것이라고 밖에 볼 수 없다. 특히 인천시와 연세대와의 협약 사실이 보도된 날에는 시민단체와 정치권이 앞 다퉈 특혜의혹과 선거용 정책이라는 비난을 담은 논평과 보도 자료를 배포했지만, 경기일보 지면에서는 한 글자도 찾아 볼 수 없었다. 경기일보가 당초의 논조를 유지했다면, 너무도 당연히 이를 지면에 반영했을 것이다. 인천참언론시민연합은 앞서 인천지역 언론사들에게 공정한 보도 촉구와 선거보도 준칙 공개를 강력히 요구한 바 있다. 그 이유는 지방선거가 다가올수록 경기일보가 보여준 이런 상황이 비일비재하게 벌어질 것이 볼보 듯 뻔하기 때문이다. 인천참언론은 다시 한 번 인천지역 언론들에게 공정보도를 촉구한다. 언론사는 시청이나 관공서에 굽신 거리는 장사치가 아니라, 사회의 공기 역할을 다 해야 하는 엄중한 소명을 부여 받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제보를 기다립니다】 언론의 왜곡·편파 보도나 기자들의 광고, 향응, 촌지 요구 등 사이비 행각을 발견하시면 언제든 참언론시민연합에 연락해 주십시오. 또한 언론사 내부의 광고 강요, 부당한 처우 등 사이비 행각과 근로기준법 위반 실태에 대해서도 제보 바랍니다. 제보자의 신분은 절대적으로 보호해 드립니다. ▲제보 문의 arong95@daum.net